▲이강수
홍천전통발효연구회 전문위원
·홍천허브·다물연구소 대표

곽향정기산은 허준과 관련된 설화도 있다. 1869년 조선 철종 때 이원명의 야담집 동야휘집(東野彙輯)이라는 책에 나오는 이야기인데 허준이 젊었을 때 서울 구리개(지금의 을지로 부근)에서 약방을 열고 환자를 보고 있었다고 한다.

어느 날 한 노선비가 사람을 만날 약속이 있다고 하면서 약방에 찾아왔다고 한다. 매일 출근하다시피 와서는 여러 날이 되어도 떠나지 않고 머물고 있었는데 그러던 중에 한 사람이 급하게 허준의 약방에 들어오더니 아내가 출산이 임박하여 졸도를 했으니 약을 지어달라고 부탁을 하였고 허준은 환자를 보지도 않고 어떻게 약을 처방하느냐고 거절했는데 그 때 옆에서 보고 있던 노선비가 곽향정기산 세 첩을 지어주라고 하였다.

허준은 임산부에게 잘 사용하지 않는 약이 아니기 때문에 미심쩍어 했지만 약을 지으러 온 남편이 계속 애원하자 곽향정기산 세 첩을 지어 주었다. 그날 저녁 때에 또 한 사람이 들어와서 세살 먹은 아들의 열병 약을 지어 달라고 부탁하였고 이때도 옆에 있던 선비가 곽향정기산 세 첩을 지어 주라고 하였다. 허준은 그 선비 말대로 곽향정기산 세 첩을 지어 주었고 다음날 아이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재상의 아들이 허준에게 부친의 약을 지으러 왔다. 허준이 자세히 그 부친의 병환을 청취하고 있는데 옆에 있던 선비가 또 다시 곽향정기산 세 첩을 지어주라고 하였고 허준이 처방해 준 곽향정기산을 달여서 복용하였던 재상은 바로 병이 나았다고 한다. 곽향정기산 덕분인지 그 이후에 허준은 명의로 소문이 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선비는 홀연히 어디론가 떠나고 종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곽향정기산의 기본병기는 비위의 운화장애이다. 비위에 습이 정체되어 있거나 순환이 잘 안되고 (승청강탁) 그로 인해 나타나는 두통, 복통, 설사 그리고 외감풍한의 여름감기에 주효하다. 표증과 리증이 섞여있는 표리겸병에 사용한다. 처방구성을 보면 중초(脾胃)의 습(濕)을 제거하여 비위(脾胃)의 기능을 정상화 시키는 목적으로 되어 있으며 중기(中氣)를 보(補)하는 작용은 없다.

즉 감기에 걸렸는데 속도 더부룩하고 설사를 하거나 체했는데 머리도 아픈 등의 표증을 겸하거나. 식중독이나 급성 위장질환에 걸렸을 때 혹은 표리를 구분하기 어려울 때 쓸 수 있다. 감기약으로 인해 비위기능이 약해졌을 때도 효과적이다. 사상체질의 창시자인 이제마는 소음인 감기의 3대 명방으로 한사에 의한 감기에 장중경의 천궁계지탕과 스트레스에 의한 감기에 위역림의 궁귀향소산 그리고 위장성 감기에 공신의 곽향정기산을 꼽았다.

곽향정기산의 모태가 되는 처방이 있는데 금(金)과도 바꿀 수 없다는 의미를 가진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이 그것이다. 처방은 곽향, 후박, 진피, 반하, 창출, 감초의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효능 역시 내상(체기, 음식상), 외감(장염 등 바이러스 감염) 증상이 같이 있을 때 쓸 수 있는 명처방이다.

조선조에 중종이 감기증세로 두통과 함께 기침과 인후통을 호소하자 의관들이 불환금정기산을 진어한 기록이 있고 숙종이 식체로 인해 가슴이 답답한 증세를 보이자 의관들이 불환금정기산을 진어한 기록이 있다. 영조는 비가 온 후 습기에 저촉되어 복부에 결체된 듯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불황금정기산을 복용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곽향정기산 처방과 쌍화탕을 합방한 것이 이른바 ‘쌍금탕(雙金湯)’이다.

과립형태의 약국용 처방을 생산 판매하는 제약회사들을 소개하면 한풍제약, 정우신약, 경방신약, 경진제약, 한국 신텍스제약 등에서 곽향정기산, 불환금정기산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곽향정기산 – 허준의 동의보감》
곽향(藿香) 6g, 자소엽(紫蘇葉) 4g, 백지(白芷), 대복피(大腹皮), 백복령(白茯苓) , 후박(厚朴), 백출(白朮), 진피(陳皮), 반하(半夏), 길경(桔梗), 자감초(炙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곽향정기산 - 이제마의 동의수세보원》
곽향(藿香) 6g, 자소엽(紫蘇葉) 4g, 창출(蒼朮), 백출(白朮), 반하(半夏), 진피(陳皮), 청피(靑皮), 대복피(大腹皮), 계피(桂皮), 건강(乾薑), 익지인(益智仁), 자감초(炙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불환금정기산- 동의보감》
후박(厚朴, 진피(陳皮), 곽향(藿香), 반하(半夏), 창출(蒼朮) 각각 6g, 감초 3.0g, 생강 ·대조(大棗) 각각 4g이며, 달여서 복용한다.

저작권자 © 홍천뉴스 / 홍천신문 홍천지역대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